티스토리 뷰

고용보험 가입 상태에서 이직이 가능할까요?

직장을 옮길 때 고용보험 문제가 가장 먼저 떠오르죠? 이전 직장에서 이미 고용보험에 가입된 상태에서 이직하는 것이 가능한지, 만약 고용보험이 유지된 상태라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리고 해지된 경우에는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궁금한 분들을 위해 설명드릴게요.

 

고용보험가입시-이직
고용보험가입시 이직

 

고용보험이 가입된 상태에서 이직 가능 여부

먼저, 고용보험에 가입된 상태에서 이직하는 것은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이직 후 새 직장에서 고용보험이 제대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새 직장에 입사하면서 고용보험 관련 서류를 정확히 제출하고, 고용보험이 제대로 처리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부분만 잘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고용보험-안내
고용보험-안내

 

 

전 직장에서 고용보험이 유지된 경우

만약 전에 다니던 직장에서 여전히 고용보험이 유지되고 있다면 새 직장으로 이직할 때 몇 가지 단계를 밟아야 합니다.

  1. 이직확인서 제출: 새 직장에 입사할 때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취득신고를 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이직확인서를 제출하면 이전 직장에서의 고용보험 자격이 자동으로 상실됩니다.
  2. 피보험자격 유지: 새 직장에서 고용보험이 정상적으로 가입되면 이전 직장의 고용보험 자격이 자동으로 정리되므로, 추가 조치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전 직장에서 고용보험이 해지된 경우

반대로 전 직장에서 이미 고용보험이 해지된 상태라면, 새 직장에서 다시 고용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

  1. 신규 고용보험 가입: 새 직장에서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취득신고를 하면 됩니다.
  2. 고용보험 이력 확인: 정부24 또는 고용보험 토탈서비스에서 고용보험 가입 이력을 확인하여 이전 직장에서 고용보험이 제대로 해지되었는지 확인하세요.

이직 시 주의사항

이직할 때는 고용보험 외에도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 실업급여 수급 조건: 자발적 이직이 아닌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직확인서를 정확히 작성하고 제출해야 하며, 이전 직장에서 180일 이상의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필요합니다.
  • 퇴직금 정산: 이직 전 반드시 퇴직금을 정산받아야 합니다. 이는 근로자의 권리이므로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건강보험 및 국민연금: 이직 시 건강보험과 국민연금도 함께 처리해야 합니다. 새로운 직장에서 이를 다시 설정하고, 이전 직장에서의 납부 이력이 정확히 이어지도록 확인하세요.

 

고용보험 홈페이지 실업급여 신청 방법 안내

 

고용보험 홈페이지 실업급여 신청 방법 안내

고용보험 홈페이지를 통한 실업급여 신청의 모든 것 세상이 요동치는 변화 속에서 안정적인 직장 생활을 꿈꾸는 것은 누구나의 바람입니다. 하지만 때로는 예상치 못한 사건들로 인해 우리의

realpos.tistory.com

 

 

자주 묻는 질문

고용보험이 있는 상태에서 이직하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자발적 이직이 아닌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이직 사유가 기재된 이직확인서를 제출해야 하며, 이전 직장에서 180일 이상의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필요합니다.

이직 후 새로운 직장에서 고용보험을 어떻게 처리하나요?

새 직장에서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취득신고를 하면 이전 직장의 고용보험 자격이 자동으로 상실되고, 새로운 직장에서 고용보험이 시작됩니다.

전 직장에서 고용보험이 해지된 상태에서 이직하면 어떻게 하나요?

새로운 직장에서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취득신고를 통해 다시 고용보험에 가입하면 됩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직장에서 고용보험이 정상적으로 개설됩니다.

 

 

이제 고용보험과 이직에 대해 더 잘 이해하셨나요? 이직 과정에서 고용보험과 관련된 모든 사항을 꼼꼼히 챙기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필요하면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즐겁고 원활한 이직이 되길 바라요!

 

 

댓글